분류 전체보기 23

현직이 알려주는 감정평가사 2022 최신 연봉

김정평가사의 연봉 구조는 퍽 특이합니다. 크게 기본급+출장비+인센티브로 이뤄집니다. 출장이 잦은(주 3~5회) 직업 특성상 출장비의 액수도 상당합니다. 사실 기본 연봉 자체는 중소기업 수준입니다. 때문에 초봉(수습)은 3000~4000(만원)으로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등 차상위 전문직에 비해서는 낮죠. 하지만 인센티브, 즉 수습이 끝나고 2년차부터 영업을 통해 연봉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 폭이 매우 커서 영업력에 따라 이후 연차별 연봉은 천차만별입니다. 아래는 정리표입니다. *영업 접대비, 차량 감가, 유류비는 아래 금액에서 적절히 감안하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영업력 평균 기준입니다. 「초봉, 1년차」 3000만원대 「소속 감정평가사 1년차~, 2년차~」 소속 3년차, 4년차 - 7000만원 소속..

카테고리 없음 2022.06.15

감정평가사 합격자 대학

보시다시피 서울시립대가 특히 강세를 보입니다. 전반적인 합격자 출신 대학은 세무사와 비슷한 양상을 띱니다. (다소 적은 sky 비율, 서울시립대의 강세 등) 간혹 '누적 합격자' 수로 현황을 흐리는 경우가 있는데 과거와 현재는 상황이 많이 다릅니다. 과거 명문대에서 상당한 비중의 감정평가사를 배출한 이유는 3가지입니다. 1. 비교적 수월한 난이도 사시를 비롯한 고시류 시험(행시, 회계사, 변리사 등)에 비해 낮은 진입장벽. 2. 로스쿨의 부재 로스쿨이 생긴 현재, 명문대생이 굳이 감정평가사 시험을 볼 이유가 없어진 것이죠. 통상 회계사, 변리사는 막변보다 좋고 감정평가사는 아래라고 봅니다. 3. 전문직 자체의 인기 과거에는 '모든' 전문직이 현재보다 훨씬 상황이 좋았습니다. 말 그대로 돈을 쓸어 담았죠...

카테고리 없음 2022.06.10

전문직 급수

문•이과 8대 전문직의 (공무원)급수는 어떻게 될까요? 시험의 난이도(응시자 풀, 논술형, 수험기간 등), 각종 처우(연봉, 사회적 지위, 발전 가능성 등), 해당 전문직의 공무원 임용 급수를 고려하여 상정한 급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의사(의치한), 변호사 -고년차: 고공단 나급(2급) -저년차: 5급 회계사, 변리사 -고년차: 고공단 나급(2급)~부이사관(3급) -저년차: 5급~6급 수의사, 약사 -고년차: 부이사관(3급)~서기관(4급) -저년차: 6급 *고년차: 경력 10년 이상 *저년차: 경력 5년 미만

카테고리 없음 2022.06.03

전문직 급수

문•이과 8대 전문직의 (공무원)급수는 어떻게 될까요? 시험의 난이도(응시자 풀, 논술형, 수험기간 등), 각종 처우(연봉, 사회적 지위, 발전 가능성 등), 해당 전문직의 공무원 임용 급수를 고려하여 상정한 급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의사(의치한), 변호사 -고년차: 고공단 나급(2급) -저년차: 4~5급 회계사, 변리사 -고년차: 고공단 나급(2급)~부이사관(3급) -저년차: 5급 수의사, 약사 -고년차: 부이사관(3급)~서기관(4급) -저년차: 6급 *고년차: 경력 10년 이상 *저년차: 경력 5년 미만

카테고리 없음 2022.06.03

빅4 회계법인 초임 파트너 연봉

빅4 파트너라 함은 통상 15년차에 달게 되는데 보통 기본급2억+a로 2~3억 정도의 연봉으로 시작한다. 종합적인 위상과 처우는 딱 대기업 임원급. 세무공무원으로 치면 지방국세청장(국장급)이 되겠다. (누가 세무서장하고 비교하는데, 세무서장은 일반 회계사들과 비교하는 게 맞다고 본다) 또 간혹 회계사와 세무사를 비교하는 질문이 보이는데 이 한 문장으로 정리한다. '5급vs7급' 회계사vs세무사 딱 이 차이다. 난이도, 처우, 인식, 상위호환성 등 전부. 학벌 괜찮으면 5급, 회계사 학벌 안 좋고 나이 많으면 7급, 세무사 이게 정론이다.

카테고리 없음 2022.06.02

중앙부처 과장=대기업 부장

중앙부처의 과장은 3•4급으로 조직 내 위상과 이직에 있어 대기업 부장과 같은 위치에 있습니다. *보통 나이 등의 문제로 국장~팀장급에서만 이동이 이뤄집니다. **공무원→대기업 스카웃 기준 (단, 승진을 앞둔 해당 직급 말년차가 이직할 경우 -고시 출신 한정- 1직급 올려 스카웃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공단 나급(국장)=전무~상무 부이사관•서기관(3•4급, 과장)=부장 사무관(5급, 팀장)=차장~과장 ※고공단 나급은 두 직급을 통합한 것으로 군으로는 소•준장이 이에 해당됩니다. 과장급은 대령, 팀장급은 중령이며 사기업(대기업)으로는 각각 부장과 차장이 이에 해당됩니다. 정리: 중앙부처 과장(3•4급)=대기업 부장=대령 단, '승진을 앞둔' 잘나가는 '행시 출신' 과장이 승진을 포기하고 대기업에 스카웃 ..

카테고리 없음 2022.06.02

대위는 7급 공무원?(군무원×)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오늘날 군인의 의전 예우는 군사정권의 잔재로 아직까지 청산하지 못한 적폐인데요. 실질적인 대우(보직 등)는 대강 정상화된 상황입니다. 국방부, 방위사업청 등 공무원과 군인이 함께 일하는 조직에서 군인이 공무원에 대응되는 보직은 대령=과장급(서기관, 4급), 중령=팀장급(사무관, 5급), 소령=주무관(6급), 대위=주무관(7급)입니다. 한눈에 보실 수 있게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군인의 공무원 대응 보직 중장=고공단 가급(1급) 준장•소장=고공단 나급(2•3급) 대령=과장(4급) 중령=팀장(5급) 소령=주무관(6급) 대위=주무관(7급) 다만, 군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급수를 매기면 아래와 같습니다. (경찰 조직이 가장 유사한 조직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

카테고리 없음 2022.05.31